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거부반응
- 오블완
- 설사
- 수치
- 티스토리챌린지
- cr
- 신장이식후
- 수전증
- 신장내과
- 크레아티닌
- 요루장애
- 코로나확진
- 이식후일상
- 신장이식
- 크레아티닌상승
- 신장이식일기
- 일상
- 자가도뇨카테터
- 외래
- FK506
- 이식후외래
- 이식3년차
- 신장내과외래
- 자가격리
- 결막하출혈
- 이식후입원
- 신장수치
- 카테터
- 코로나음성
- 고열입원
- Today
- Total
목록신장 공부/감염과 질병 (10)
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저에게 신장을 공여해준 엄마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서 오랜만에 일상이야기가 아닌 내용을 준비했어요~ 내용은 종근당의 콜레스테롤 설명 및 그림 (http://www.ckdhcmall.com/issue/view.asp?mNo=51)과 콜레스테롤 설명 그림은 keck medicine of USC (https://www.keckmedicine.org/what-is-the-difference-between-good-and-bad-cholesterol/) 및 위키백과를 참고했어요~ 1. 콜레스테롤 정의 및 종류 가) 스테로이드와 알코올의 조합인 스테롤의 한 종류 나) 모든 동물 세포의 세포막에 필수적으로 있는 지질로써 혈액을 통해 운반됨. i. 세포막 내 콜레스테롤 기능 : 세포내 수송, 세포 신호전달, 신경 ..
※자료는 다음백과(질병백과)와 위키백과에서 수집하였습니다.※ 오늘은 스테로이드 복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쿠싱증후군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면역억제제3 " 포스팅에서 프레디솔론에 대해 설명하기 전 스테로이드에 대해 정리해 놓았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프레디솔론은 corticostero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으로 소론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건강관리/이식관련 공부] - 면역억제제 3 1. 원인● 쿠싱증후군은 뇌하수테 선종, 부신 과증식, 부신 종양과 이소성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적으로 혈중 코티솔 농도가 높아지는 내분비 장애입니다.● 즉,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많은 당류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내인성 ..
※모든 자료는 대한당뇨병학회 및 "Transplantation 2011;91: 334-341" New-onset diabetes mellitu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discharged on steroid-free immunosuppression 과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Targets and Therapy 2011:4" New onset diabetes after transplantation (NODAT) : an overview 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참고했습니다.※당뇨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당뇨병학회의 당뇨병교실을 참고해주세요. ( 대한당뇨병학회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www.diabetes.or.k..
※모든 자료는 국가건강정보포털에서 다음백과에 제공하는 정보와 다음백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내용에서 가져왔으며, 사진 또는 그림은 구구글 검색을 통해 얻었습니다. ※ 현재 스테로이드 계열인 소론도를 신장이식 후 53일 째 복용하고 있으며, 제가 알기로 계속 복용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해 알아가고자 하며, 그 중에서 오늘은 지난 번에 알아본 백내장과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녹내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백내장과 신장에 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건강관리/이식관련 공부] - 신장이식과 백내장 ) 1. 녹내장이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긴경에 이상이 생겨서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신경 손상으로 시야 결손..
※모든 자료는 다음백과와 위키백과를 통해 정리했으며, 신장이식한 사람에서의 눈에서 면역억제제와 관련하여 합병증 또는 부작용에 관한 내용과 테이블은 논문 "Saudi J Kidney Dis Transplant 2008;19(5):751-755 (Ocular Disorders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에서 얻었습니다.※ 신장이식인들이 모인 카페 글들을 보면 다양한 감염성 질환 외에도 백내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그러한 글을 보다보면 저 또한 걱정이 되서 백내장이 무엇인지, 어떤 증상이 있는지,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며, 신장이식 후 어느 시기 쯤에 발생하는 지 등에 대해 궁금해서 "신장이식과 백내장"에 대해 조사해봤습니다. 1. 백내장이란?: 백내장은 안구의 수정체가 ..
※ 자료는 다음백과와 wikipedia를 통해 수집하였습니다. ※ 신장 이식 후 복용하는 면역억제제로 인해 다양한 질병에 걸릴 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 중에 한가지가 폐렴입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감염되거나 비감염성 질환에 의해 폐조직에 염증반응이 일어난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발열, 호흡곤란이 동반되며 설사, 구토, 두통과 피로감의 전신적인 증상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폐렴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폐에 기흉, 폐농양등이 동반할 수 있습니다.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며 객담검사, 혈액검사, 흉막액 배양검사등을 통해 어떤 미생물에 의한 것인지 판별할 수 있습니다. 주로 항생제로 치료를 하지만 일부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치료가..
오늘은 거대세포바이러스 (CMV; 1)와 BK 바이러스에 이어서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varicella zoster virus (VZV; 2)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018/01/11 - [건강관리/이식관련 공부] - 면역억제제 복용에 의해 증가하는 바이러스 감염1 2018/01/12 - [건강관리/이식관련 공부] - 면역억제제 복용에 의해 증가하는 바이러스 감염 2 (자료는 위키백과와 transplat journal에서 2015;00: 00–00에 출간된 "Protection From Varicella Zoster in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Carrying Killer Cell Immunoglobulin-Like Receptor B Haplotypes"의 논문..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면역억제제 복용에 의해 증가하는 바이러스 감염 중 BKV (BK 바이러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어제는 CMV; 거대세포바이러스에 대해 정리했었습니다.)2018/01/11 - [건강관리/이식관련 공부] - 면역억제제 복용에 의해 증가하는 바이러스 감염1 자료는 위키백과와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에서 2012년도에 발간된 "common infection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를 참고했으며, 그림은 위의 논문에서 얻었습니다. BK 바이러스는 신장이식한 사람의 소변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최초로 발견된 환자의 이름을 따서 BK 바이러스라고 불립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
저처럼 신장이나 다른 장기를 이식한 사람은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수여자의 몸에서 이식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식 장기의 기능과 수명을 늘려주기 위해서 입니다. 하지만 이 면역억제제에 의해 낮아진 면역력으로 인해 곰팡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식한 사람들이 가장 신경쓰는 것이 아마도 감염/위생 및 청결일 것입니다. 아무래도 개인위생을 신경쓰고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면 상대적으로 감염될 상황을 마주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식한 사람들이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생 및 청결을 이식하기 전에 비해 더 각별히 신경쓰게 될 것입니다. (병원에서 퇴원후 희석한 락스와 소독용 에탄올을 이용하여 집을 청소하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개인위생을 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