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면역억제제 1 <Tacrolimus> 본문
※모든 자료는 다음백과, 위키백과, "새 콩팥과 살아가기" 책과 Bric 검색을 통한 "BioWave, Vol.1, No.1, SubNo.4"의 "Tacrolimus (FK506)와 면역반응 신호전달 연구"를 통해 얻었습니다.※
신장이식 뿐만 아니라 간이나, 골수 그리고 자가면역질환 등 여러 질환에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면역억제제 종류는 크게 성분으로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 FK506), 사이클로스포린 (yclosporine), 시롤리무스 (Sirolimus), 에베로리무스 (Everolimus), 아자치오프린 (Azathioprine), 마이코페놀레이트 (Mycophenolate), 미조리빈 (Mizoribine),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과 데플라자코트 (Deflazacort)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작용기전을 통해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칼시뉴린 억제제 (타크로리무스와 사이클로스포린), 포유류 라파마이신 표적단백질 억제제 (시롤리무스와 에베로리무스), 항대사 물질 (아자치오프린, 마이코페놀레이트와 미조리빈)과 스테로이드 (프레드니솔론와 데플라자코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양한 면역억제제 중에서 지금 제가 복약하고 있는 면역억제제는 타크로리무스(칼시뉴린 억제제)에 속하는 타크로벨, 미코페놀산모페틸 (항대사 물질)에 속하는 이뮤셉트과 프레드니솔론 (스테로이드)에 속하는 소론도입니다.
이 중에서 오늘은 타크로벨이 포함된 타크로리무스 (칼시뉴린 억제제)에 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왼쪽 구조가 사이클로스포린 (위키백과)이며, 오른쪽 구조가 타크로리무스 (다음백과)이다.)
타크로리무스는 사이클로스포린 이후에 개발된 면역억제제로써, 사이클로스포린과 구조는 다르지만 선택적으로 T 림프구에 작용해서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이 유사합니다. 효과적으로 거부반응을 억제하지만 타크로리무스 자체에 신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신장의 생존율을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하지만 칼시뉴린 억제제만큼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면역억제제가 아직 개발 또는 증명되지 않아서 칼시뉴린 억제제를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용량을 적절하게 유지해야합니다.
타크로리무스는 macrolide antibiotic이며, 작용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그 효과를 나타냅니다. 세포 내에서 FK506 결합 단백질 (FK binding protein; FKBP)과 결합하여 칼시뉴린 (calcineurin)의 활성을 억제하게 됩니다. 칼시뉴린의 활성억제는 칼슘 의존적인 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interleukin-2 (IL-2) 유전자 전사의 억제 뿐만아니라 IL-1, TNF-1, IL-3, IL-4, IL-5, IL-6, IL-8과 GM-CSF와 같은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들의 전사 역시 억제되도록 합니다. 또한 nitric oxide synthase 활성화, 세포의 degranulation와 apoptosis를 막게 됩니다.
(사이토카인은 간단히 면역세포들의 메신저역할을 해주는 단백질로써, IL-2는 특히 T 림프구의 분화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입니다. nitric oxide은 탐식세포에서 합성되어 항원을 탐식하여 소화하는데 이용되며, 과도한 합성은 항원외에 주변 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apoptosis는 세포자멸사로 necrosis (괴사)와 다른 의미의 세포 사멸을 뜻합니다.)
T 림프구 수용체 자극을 통한 T림프구의 증식이 타크로리무스에 의해 저해되며, Th2 세포 (알러지 반응과 관련있는 세포)보다 Th1 세포 (세포매개성, 자가면역질환 등과 연관이 있는 세포)를 더 민감하게 억제하여 T 세포 매개 세포독성을 저해하게 됩니다. 또한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 (antigen pregenting cell) 사이의 interaction 종류에 따라 sensitivity가 달라집니다. TCR/CD3 complex나 CD2 경로를 통해 자극된 T 세포의 활성화는 타크로리무스에 의해 저해되지만, CD28을 통한 T 세포의 증식반응은 타크로리무스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T 세포는 항원제시세포의 도움이 있어야 항원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항원제시세포에는 수지상세포, 대식세포와 B 세포가 있습니다.)
즉, T 세포의 활성화에 필수적으로 작용하는 것 중 하나인 칼시뉴린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인 면역을 억제시키게 됩니다.
타크로리무스 중 하나인 타크로벨은 아직 태아나 임산부에서 안정성이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 약이나 마크로라이드 화합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자, 시클로스포린 또는 보센탄을 투여 중인 자, 칼륨보전 이뇨제 투여 중인 자,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 장애의 유전적 문제가 있는 자는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순환기계, 신장, 혈전미세혈관장애, 혈액계, 경련, 장폐색증, 감염증, 악성종양, 중추신경계, 뇌혈관계, 간질폐렴, 대사, 췌장, 피부와 호흡기계에서 다양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함을 느끼거나, 불편하거나 통증 또는 열이 있는 등 문제를 인지하면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또한 타크로리무스의 혈중 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들이 있으므로, 이식한 내과 또는 외과에서 처방해준 약 외에 다른 약을 섭취해야 할 경우 담당 의료진에게 꼭 상의 후 복약하도록 해야합니다.
12시간 간격으로 1일 2회씩 투약하므로, 잊지말고 약을 제시간에 꼭 복약하도록 해야하며, 약의 흡수가 감소하지 않도록 복약하기 2시간 전에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해서는 안되며, 복약 후 1시간 동안도 공복을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약의 복약을 잘 지키고 문제가 생겼을 때 의료진과 빨리 상의하여 공여받은 장기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생 노력해야합니다.
'신장 공부 >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억제제 3 <Prednisolone> (0) | 2018.01.16 |
---|---|
면역억제제 2 <Mycophenolate> (0) | 201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