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신장이식 후 D+189, 20180619 (11번째 외래) 본문
※ 건강관리 카테고리 (이식후 하루 하루)에서 '신장이식 후 D+xxx'는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추후에 부작용이 생겼을 때 문제점이 있다면 조금이라도 빨리 찾기 위해 매일 쓰려고 합니다. 또한 개인차나 건강상태가 다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1. 일정
: 집 > 운전 (30분 이내, 주차 포함) > 전북대학교 - 채혈실 (대기 10분정도, 약 9시 45분쯤 채혈) > 운전 > 집 > 운전 > 전북대학교-혈액검사 결과 프린트 요청하러 원무과 옆에 있는 과? 방문 (15분 이내) > 신장내과 접수 후 외과로 가서 인바디 측정 > 신장내과에 인바디 프린트물 제출 후 애기 (약 40분 쯤) > 교수님께 진료 및 상당 > 운전 > 병원 외 약국 (폐기할 약) > 운전 > 집 > 저녁식사 후 운전 (약 1시간) > 회사 (약 1시간) > 기숙사 (1인실)
: 원래 11번째 외래는 07월 05일이였으나, 조개구이 먹은 날 + 사람 낳은 장소에 3일 연속 다닌 날 이후로 체온이 약간 상승한 것 (+약한 두통)이 있어서 불안 / 수치 확인하고 안심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외래 당김 (요즘 5주에 한번 외래감)
: 병원과 집이 같은 전주여서, 병원에서 마냥 5시간 30분을 대기할 수 없어서 집에 갔다가 돌아모/ 주차 30분 미만이면 무료일 줄 알고 서둘렀는데 1000원냄
: 폐기할 약은 신장이식하기 전에 처방 받았던 약들이 대부분이며, 나눔하기엔 적은 양이라 알약들끼리 모은 다음에 약국에 갖다 줌 (이전부터 다녔던 약국에 폐기할 약 수거하는지 확인한 후 갖다줌)
2. 식사
★ 음식 뒤에 쓴 숫자는 대략적인 섭취 비율이며, 식사 및 간식을 통한 수분 섭취량 계산시 이용함 / 외식은 제외 (먹은 양으로 대략적으로 계산함)
- 아침 : 밥0.8 애호박볶음0.7 새송이버섯볶음0.8 김치찜0.1 메추리알장조림(메추리알3개0.8 장조림0.3)
- 점심 : (집근처 본죽에서 2개로 나눠서 포장해옴) 쇠고기야채죽0.5그릇 호박전1.2 김치0.2 오징어초무침0.2 메추리알장조림(메추리알3개0.8 장조림0.3) // 쇠고기야채죽이 쇠고기 씹히는 맛이 느껴지지만 많지는 않아서 다른 죽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크게 높을 것 같진 않음)
- 저녁 : 밥0.8+마파두부(두부만1.2) 게맛살전2개2 무김치찌개(무만1) 장조림0.3 무반 국물반으로 끓인 맑은 오징어무국(오징어0.5무1)
- 간식 (17시) : 빙그레 아카페라 바닐라라떼 240ml
★ 빙그레 아카페라 바닐라라떼 영양정보 (카페인 함량 65mg / 145kcal / 240ml) : 나트륨 6% 탄수화물7% 지방 7% 콜레스테롤 5% 단백질 6%
3. 수분 섭취
- 생수 (아이시스8.0) : 2500ml
- 식사 및 간식 : 약 1195ml (커피 제외)
- 21~6시 사이 : 470ml
4. 소변
- 총 16번, 야간뇨 2번
5. 대변
- 1번
- 보통변
- 아침식후
6. 증상
- 심한 수전증
- 약한 두통
7. 수면
- 기상 : 7시 50분
- 낮잠 : 없음
- 취침 : 00시
- 수면장애 : 없음
8. 운동
- 도보 (캐시워크 앱 이용) : 10813걸음 94분 6.27km
9. 체온/혈당
- 8시 30분 : 37.5
- 11시 15분 : 37.2
- 13시 30분 : 37.3
- 23시 : 37.3 / 취침 전 113
10. 혈압 (최고/최저/맥박수)
- 15시 15분 : 92/54/89
- 너무 낮은 것 같아서 5분 쉬었다가 다시 측정 : 98/53/87
11. 약
- 아침 식사 30분 후 : 소론도 5mg 1정 + 셉트린 1정 + 훼로바정 1정 + 실콘정 1정
- 오전 10시 : 이뮤셉트 250mg 2캅셀 + 타크로벨 1mg 2캅셀
- 저녁식사 후 : 식후 바로 운전해야되서 시동켜고 훼로바 먹는 다는 것을 깜빡함
- 오후 22시 : 이뮤셉트 2캅셀 + 타크로벨 2캅셀
12. 인바디 (2017.12.11 D-1 / 2018.03.22 D+100 / 2018.06.19 D+189)
- 체성분 분석 : 몸무게 큰 차이 없음
- 골격근-지방
: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제지방량 모두 표준이하
- 비만진단
: BMI 표준이하, 체지방률과 복부지방륭은 표준
- 신체균형
: 모든 부위가 표준이하 / 100일째 특히 다리 근육이 빠졌으나, 지금은 거의 수술 전 정도로 회복됨
13. 혈액 검사 결과 (11번째 외래 > 10번째 외래; 정상치는 다른 외래치 날짜에 기입한 것 참고)
★ 파란색 글씨는 정상이하
◎ 백혈구 및 빈혈관련
- WBC 백혈구 : 4.45 > 6.91
- RBC 적혈구 : 3.15 > 3.51
- Hb : 9.2 > 10.1
◎ 신장수치 및 철 이용 관련 수치
- BUN : 12 > 14
- 크레아티닌 : 1.14 > 1.13
- eGFR(CKD-EPI) 사구체 여과율 : 65.1 > 65.8
- Iron : 135
- UIBC : 140
- Ferritin : 319.3
- TIBC : 275
◎ 비타민 D : 13.85 > (03.21일 외래 결과) 13.16
◎ FK506 타크로리무스 혈중농도 : 5.66 > 8.58 > 6.07
14. 신장내과 교수님께 Q&A
- 수전증이 심해짐 : 약 부작용이며, 약물 농도가 적정하기 때문에 줄일 수 없고, 다른 약을 처방할 수 있음 / 하지만 약 먹을 정돈 아닌 것 같아서 처방받지 않음
- 내 증상 (+평소보다 체온이 올라가고 약한 두통, 손가락이 약간 붓음 등) : 너무 예민하다, 괜히 스트레스 받지 말고 체온 측정하지 말라 (체온만이 높아졌다고 외래 당겨서 온 환자는 처음이라 함... 괜히 거부반응일까봐 겁먹긴 했었음) // 스트레스가 가장 안 좋다 // 지금 잘 하고 있으니 지금 처럼 하라
- 하혈 (지난주 일요일 포함 지금까지 2 번, 속옷에 피가 손가락 한마디 정도 뭍어있음) : 수술 후 산부인과 진료 본적 없는 것 확인하시고 한번더 그러면 말하라 하심
- 운동은 걷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심
- 38도 이상 + 다른 증상이 동반될 때 응급실 방문 (목이 붓는 등)
- 중심정맥관 시술 실패 부위에 남은 파편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는 다음진료 (원래대로 07월05일)에 처방해주신다고 함
- 정상범위 이하로 떨어진 백혈구 수치 (수술 후 처음인듯)는 감염이 되었다고 보기에, 또는 너무 쉽게 감염될 수 있는 상태라고 보기 힘들다고 하심
- 영양사썜이 알려준 것보다 더 먹어도 되는 지 + 저염식에 대해 물어봄 : 영양학적인 제안 또는 설명이 꼭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지 않다고 하시며, 나같은 경우가 적합하지 않다고 하심 (저체중 + 저혈압) >> 우리 몸은 몸에 필요한 것을 요구하게 끔 적응되니 먹고 싶은 것들 다 먹어라, 대신 짜게 먹지 말고 과식하지 마라 (아마도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목마른 것과 비슷 원리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됨) // 아무거나 막 먹어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금 먹었던 것들의 양을 늘려도 되고, 저염식으로 먹으면 혈압이 더 낮아지니까 짜게 먹지만 말라는 뜻.
15. 기타
- 약 변경사항 없음
'신장 이식 후 건강과 일상 > 이식후 외래_신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이식 후 D+219, 20180719 (13번째 외래) (0) | 2018.07.20 |
---|---|
신장이식 후 D+205, 20180705 (12번째 외래) (0) | 2018.07.06 |
신장이식 후 D+170, 20180531 (10번째 외래) (0) | 2018.06.01 |
신장이식 후 D+135, 20180426, 9번째 외래 (0) | 2018.04.27 |
신장이식 후 D+100,20180322 (8번째 외래) (0) | 2018.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