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신장이식 후 D+135, 20180426, 9번째 외래 본문
※건강관리 카테고리에서 '신장이식 후 D+xxx'는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추후에 부작용이 생겼을 때 문제점이 있다면 조금이라도 빨리 찾기 위해 매일 쓰려고 합니다. 또한 개인차나 건강상태가 다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 집 > 운전 (8시 30분 출발) > 병원 (채혈, 대기 20분 미만 / 매점, 10분 이내 / 신장내과, 대기 1시간 40분 / 원무과, 15분 이내 / 원내약국 1분) > 운전 > 이마트 (삼다수 500ml 20x3box 구입, 30분 이내) > 운전 > 집 (점심식사) > 운전 (약 1시간) > 회사 > 저녁식사; 삼계탕 전문점 > 회사 > 기숙사 (1인실)
2. 식사
★ 음식 뒤에 쓴 숫자는 대략적인 섭취비율이며, 식사 및 간식을 통한 수분 섭취량 계산시 이용함
★ 간식에 대한 영양정보는 구입 후 처음 먹은 날 기입하였으며, 제공되지 않거나 직접 구매하지 않은 경우는 기입하지 않음
★ 집, 회사식당을 제외한 곳에서 식사를 할 때 왠만해선 금방 익힌 것(계란말이같은) 것을 제외한 밑반찬은 먹지 않음 (특히, 부대찌개, 삼계탕처럼 메인메뉴만 먹어도 되는 경우)
- 아침 : 밥0.8 양배추버섯볶음1 메추리알자장4개1 콩나물볶음1
- 점심 : 밥0.8 애호박볶음1 양배추버섯볶음1 메추리알자장3개0.8 오뎅볶음0.6 콩나물볶음1
- 저녁 : 삼계탕 (살코기위주2, 밥 5숟갈)
★ 밥 2숟갈에서 인삼맛 약간 느껴짐 / 하지만 인삼을 직접 먹지 않음
- 간식1 (12시 30분) : 자유시간 (집까지 갈 시간이 남았는데 배가 고파서 그냥 먹음)
★ 자유시간 영양정보 (172kcal/36g) : 나트륨 3%, 탄수화물 7%, 당류 19%, 지방 15%, 트랜스지방 0g, 포화지방 27%, 콜레스테롤 1%, 단백질 5% <다른 초코바에 비해 나트륨이나 단백질, 지방함량이 약간이라도 적었음>
- 간식2 (16시) : 네스카페 부드러운 블랙 + 자일로스 설탕 1/3큰술
3. 수분 섭취량
- 생수 (삼다수) : 2000ml
- 식사 및 간식 : 약 1090ml
★ 21~6시 사이 섭취량 : 300ml
4. 소변
★ 이날부터 소변량은 주말에만 체크하고 횟수와 야간뇨 정도만 기입할 것임
- 총 16번, 야간뇨 2번
5. 대변
- 0번
6. 증상
- 수전증
- 회사로 복귀할 때 1시간 가량 운전시 약간 졸림 (껌씹고 노래 크게 따라부르긴 했음) > 주차하고 나서 머리가 약간 쬐이는 느낌이 2시간 가량 지속됨
- 회사 복귀후 오른쪽 눈 아래의 오른쪽이 한번씩 살짝 접힌 느낌 / 아프거나 하진 않지만 신경쓰이는 정도 / 거울상 이상은 없었음
7. 수면
- 기상 : 8시
- 낮잠 : 없음
- 취침 : 23시 30분
- 수면장애 : 없음
8. 운동
- 도보 (캐시워크 앱 이용) : 8943걸음, 77분, 5.19km
9. 혈압 (최고/최저/맥박수)
- 10시 13분 : (신장내과에서) 90/63/73
10. 약
- 오전 10시 : 이뮤셉트 250mg 2캅셀 + 타크로벨 1mg 2캅셀 (복용전 1시간 30분, 후 1시간 이상 공복 유지)
- 점심식사 10분 후 : 소론도 5mg 1정 + 셉트린 1정 (본래 30분 후인데, 바로 1시간 운전해야해서 미리 먹음)
- 오후 22시 : 이뮤셉트 2캅셀 + 타크로벨 2캅셀 (복용전 2시간, 후 1시간 이상 공복 유지)
11. 혈액검사 결과 (소변검사는 이식 수술하고 나서 퇴원 후 4개월 반인 지금까지 측정한 적 없음, 괄호 안 수치는 정상범위임)
★ 0426 > 0321 > 0220 > 0201 > 0117
- WBC (4.8~10.8x10^3/ul) : 6.18 > 7.72 > 6.80 > 9.13 > 10.28
⊙ 빈혈관련 수치
- RBC (4.2~5.4x100^3/ul) : 3.81 > 4.06 > 3.71 > 3.76 > 3.72
- Hb (12~16g/dl) : 11.1 > 12.1 > 11.2 > 11.5 > 11.6
- Hct (37~47%) : 34.7 > 37.2 > 34.9 > 35.5 > 35.3
- MCV (81~99fL) : 91.1 > 91.6 > 94.1 > 94.4 > 94.9
- platelet (130~450x10^3/ul) : 209 > 199 > 240 > 237 > 222
⊙ 신장 수치
- BUN (8~23mg.dl) : 12 > 17 > 14 > 19
- Creatinine 크레아티닌 (0.7~1.7mg/dl) : 0.99 > 1.10 > 0.98 > 0.92
★ 이번에도 크레아티닌이 또 증가했으면 바이러스 검사 요청하려 했으나 BUN 수치와 같이 다행히 떨어짐
- eGFR(CKD-EPI) 사구체여과율 : 77.2 > 68.0 > 78.2 > 84.4
-FK-506 : 6.07 > 11.44 > 6.65 > 6.49 > 9.38
12. 신장내과 교수님이 해주신 말씀 & 질문에 대한 답
- 혈압 낮은 것에 대해; 수술 후 저혈압이 생긴 것인지 물어보심 / 하지만 원래 저혈압에 가까웠음 / 특히 여름에는 기립성저혈압이 심해질 수 있으니 물을 많이 마시라고했음
- 빈혈수치가 다시 떨어진 것에 대해 정상수치였다가 다시 떨어졌으나 안정과정이여서 그럴 것이라고 하심
- 약물 농도 (FK506)이 지난 외래때 11.44여서 높게 나왔지만 (6점대 유지, 10점대미만으로) 면역억제제를 우선 줄이지 말고 다음 외래에 다시 보자고 했었는데 원래 수치로 돌아옴
- 머리카락이 수술전엔 잘 안빠지는 편이였는데, 한달전쯤 부터 (이식후 3개월 차 지난 시점) 많이 빠진다.
> 빠지다가 다시 원래대로 된다, 하지만 심하게 빠지거나 하면 협진하게 말을 하라
13. 청결
- 병원 화장실 이용시 알코올로 변기 소독 후 사용
14. 기타
- 없음
'신장 이식 후 건강과 일상 > 이식후 외래_신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이식 후 D+189, 20180619 (11번째 외래) (0) | 2018.06.20 |
---|---|
신장이식 후 D+170, 20180531 (10번째 외래) (0) | 2018.06.01 |
신장이식 후 D+100,20180322 (8번째 외래) (0) | 2018.03.23 |
신장이식 후 D+70, 20180220 (7번째 외래) (0) | 2018.02.21 |
신장이식 후 D+51, 20180201 (6번째 외래) (0) | 2018.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