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2024.11 산불 목격 및 산림청 자료들 본문
지난주 금요일 경주로 출장을 다녀오는 길에 산불을 목격하게 되었어요
신랑이 운전하고, 저는 보조석에 앉아서 이야기 하면서 가는데, 저 앞에 산에서 연기가 많이 올라오더라구요
지도로 제 위치와 검은 연기가 보이는 방향으로 봤을 때 만불산 인근인 것 같았어요
놀라서 신고를 해야할 것 같은데, 위치를 어떻게 말해야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러다가 사이드 미러로 뒤쪽을 봤는데, 다행히 소방차가 달려오고 있더라구요
건조한 날씨 탓인지, 사람이 실수나 고의로 발생된 화재가 아니길, 인명피해가 없길 바라게 되더라구요~
산불이 나면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고 소방대원 분들도 위험에 노출되서 산불이 얼마나 많이 나는지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자료를 찾아봤어요
실시간 산불정보를 통해 발행지역, 주소, 발생일시와 진화일시 그리고 진화율과 현재 상태 등을 확인 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진화에 중요한 풍향과 풍속도 같이 확인이 되었어요
2024년도 11월 13일 21시쯤 확인한 산림청의 실시간 산불정보를 보면 전라북도에서 1건이 발생했어요
산불외종료로 진화하는데 약 24분이 소요되었더라고요
산림청의 산불통계-올해산불통계 2024를 보면 월별로 각 날짜에 따라 발생한 화제 건수와 피해면적을 확인 할 수 있었어요
11월이 아직 반도 안 지나갔는데, 벌써 8건이 발생했더라구요
제가 목격한 날짜는 8일이였는데, 통계가 0건이거보면, 산불이 아니였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과거산불통계 2014-2023을 클릭하면 지난 10간 산불발생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그래프를 통해 연간 발생 건수와 피해면적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기 편하기 되어있고,
오른쪽에는 테이블에 정리가 잘 되어있었어요
작년 2023년도는 596건이 발생하고 4,992.12ha이 피해를 입었는데,
2022년도는 더 많은 756건이 발생하고 피해 면적은 거의 5배에 가까운 24,797.16ha이 피해를 입었어요
재작년에 피해 발생건수도 줄고, 피해면적도 많이 줄어서 다행이예요
올해는 이제 한달 반밖에 남지 않았는데, 화재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산림청에서는 산불방지 국민행동요령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 있어요
자세한 사항은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면 되요~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cmsId=FC_002253&mn=AR04_01_01_06평소에 대비하는 방법은 산불로부터 안전을 지켜주는 방법과 집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으로 나뉘어요
산불로부터 안전을 지켜주는 방법은 4가지 기술되어 있어요.
(1) 산과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 영농부산물 등 소각을 하지 않는다.
(2) 입산통제구역, 등산로 폐쇄 구간으로 지정된 장소에 출입하지 않는다.
(3) 산행 시 화기물을 소지하거나 흡연을 하지 않는다.
(4) 허용된 구역 내에서만 취사나 야영을 하며, 화기 사용 후에는 불이 꺼졌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집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도 4가지 나와있어요.
(1) 집에서 1.5m 이내 지면에는 돌, 모래, 흙과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
(2) 집 창문 근처에는 작고 수분이 많은 식물을 가꾸도록 한다.
(3) 지붕, 테라스 등에 낙엽이나 가지가 쌓이지 않도록 정리한다.
(4) 쓰레기, 건초, 건축자재 등은 되도록 집에서 먼 곳에 보관한다.
산불이 발생하면 장소별로 준비하는 방법이 나와있어요.
집 안일때는 지역 대피 안내에 귀를 기울이고 대피 장소 확인 및 비상용품 준비하며 모든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해야 해요
그리고 집 밖일 때는 집 주위에 있는 가연성 물질을 멀리 옮기고 집 주위에 충분한 물을 뿌려두는 것을 권장해요
그리고 산행 또는 야영이나 캠핑 중일 때는 안내 방송과 핸드폰으로 상황을 확인하고 주변을 알리며, 불이 확산하는 경로를 피해 산과 먼 곳으로 이동해야 해요
또한, 산불이 다가올 때 대피하는 방법은 집일 때, 노약자와 몸이 불편하신 분일 경우, 산행 또는 야영(캠핑) 중 일때, 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로 나눠서 기술되어 있어요.
산불이 진화된 후에는 상황을 알리고 부상자는 구조를 요청해야 하고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해야 해요
마지막으로 산불을 확인하였을 때는 스마트 산림재난앱에서 산분신고를 할 수 있어요
위에 있는 사진처럼 스마트산림재난앱을 다운받고, 하단에 있는 산림재난 신고하기를 클릭해서 위치, 촬영신고 또는 전화신고를 통해 신고할 수 있어요
지도에서 신고 위치를 선택하고 산불 현정 사진 또는 동영상을 첨부하면 필수적으로 입력해야하는 것들은 모두 한 상태예요~
선택적으로 피해면적 피해규모 성명 소속 연락처를 기재도 할 수 있어요 (생략가능해요)
또한 앱으로 하는 신고보다 전화가 편하실 경우 산림청 산불상황실 042-481-4119 또는 소방서 119 또는 경찰서 112에 신고하라고 산림청 홈페이지에 나와있어요~
'일상과 여행 > 여행,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문호 올바릇 식당 경주점 (0) | 2024.11.10 |
---|---|
친구 3명의 전주 1박 2일 힐링 여행 (feat. 컬러테라피, 족욕, 완주 청수원카페) (0) | 2023.08.13 |
엄마 생신 식사_전주 아월Awor, 아리아랑 (0) | 2023.01.03 |
인천 아벨로에서 본식정장 맞추기 (0) | 2019.05.26 |
전주 한정식 전문점 궁중음식 궁 (0) | 201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