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꽁이지꽁이_이식2017.12.12
신장이식 후 D+1969_HLA 항체&BKV 음성_20230504 본문
4월 19일에 외래에서 1.59로 떨어졌던 크레아티닌이 1.71으로 올라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HLA 항체와 BKV 및 신장 초음파 검사를 진행했어요~
작년 9월 HLA 항체 검사에서 모두 음성이 나와서 항체성 거부반응은 크게 걱정하진 않았어요~
BK 바이러스는 이식 9개월차 때, 병원 전원 후 발견했었는데, 몇개월 안 없어지다가 음성이 나왔었어요~
근데, 셀셉트만 복용하면 재발했었어요~
그래서 그 동안 계속 복용하던 셀셉트때문에 다시 BKV 재발했을 가능성이 있었어요~
다행히 이번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어요~
그리고 작년 11월에 진행한 초음파와 신장스캔 검사에서 신장에서 소변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소변이 고여있고 신장이 늘어나 있다는 소견이 있었어요
그래서 비뇨기 장애로 인해 늘어난 신장이 더 안 좋아졌을까봐, 이 걱정이 제일 컸어요
그런데 걱정과 달리, 늘어났던 신장이 이번에는 정상이라는 소견을 받았어요~
검사결과는 신장수치빼고 다 좋고~
가장 걱정했던 수신증의 악화였는데 오히려 문제없다는 소견을 받았으니 기분이 좋아야하는데,
제 의견에 의해 조직검사를 진행하게 됐음에도
이상하게 기분에 몇시간 동안 우울하더라구요
혹여라도 세포성거부반응이더라도 빨리 치료받는 게 좋고, 그게 아니더라도 확인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서 오케이했던 건데, 머리로는 아는데 그렇더라구요~
1. 검사결과_혈액&소변
![](https://blog.kakaocdn.net/dn/mJ5Rt/btsdZzvQN9e/wl5r1pKIJg25jmxqFXK4Ck/img.png)
- 다행히 BUN 수치가 일주일 사이에 24.3에서 19.8으로 떨어져서 정상범위가 되었어요~
크레아티닌은 의미는 없지만 1.71에서 1.69으로 미세하게 떨어졌어요~
- 이식 후 처음으로 cystatin C를 검사했는데 정상범위 상한치인 1.05를 한참 초과한 1.90이 나왔네요
교수님께서도 별다른 말씀없이 수치만 언급하고 지나가셨어요
앞으로 또 검사할지 몰라서 결과작성하는 표에 시스타틴 씨도 추가했어요
2. 교수님 코멘트
- 혈압 괜찮다.
- 신장 수치가 조금 나빠져서
- 수치가 조금 나빠지는 상황이다.
- 셀셉트 때문에 BK 바이러스 재발이 걱정되었으나, 다행히 음성 나왔다.
- 셀셉트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이식신이 조금 더 오래가기에 사용하는 게 좋다.
- 작년했던 초음파 검사에서 신장이 늘어났는데, 이번에는 담당 선생님들이 다 좋다고만 하시며, 수신증을 포함해서 아무 문제는 없다고 하셨다.
- HLA Ab single antigen class I과 II에서 cPRA가 모두 0%가 나왔고, donor specific Ab (MFI)는 none으로 나왔음.
(항체성 거부반응 현저히 낮다는 결과)
* patient HLA A3, A33, B44, -, DR13, -, DQ6,DQ6 (06:03)
* Donor HLA (엄마) A2, A33, B44, B60, DR8, DR13, DQ6,DQ(06:04)
- 칼슘이 좀 많이 올라서 10.7로 정상범위를 0.1 초과했는데, 몸에 안 좋다.
따로 먹는 것이 있는지 물으셨고, 따로 복용 중인 것은 없고 검사 3-4일 전에 처방받은 비타민D를 복용했다고 말씀드렸어요
교수님께서 그 얘기를 듣고, 다음 검사때 확인해보다고 하셨다.
- 이번 혈액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크레아티닌이 오른 이유를 알 수 없다.
> 그 다음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조직검사이며, 다음 검사 결과를 보고 생각을 해보자.
> 내가 세포성 거부반응일 가능성을 문의함.
> 세포성 거부반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해야한다.
그러면 조직검사를 해보자.
조직검사를 하면 수치 오른 이유가 거부반응때문인지,
아니면 과거 BKV 감염때 수치가 높았고 재발도 있었기 때문에 발생했던 신장 섬유화로 인한 뒤늦은 부작용인지 확인할 수 있다.
- 교수님은 입원환자를 보지 않기 떄문에, 입원은 다른 교수님 환자로 하게 되며,
그 교수님은 교수님께서 은퇴하시면 이식환자 진료를 봐주실 분이다. (약 3년 6개월 정도 남음)
- 조직검사 안내
2박 3일 입원이며, 입원 전에 코로나 검사받고 입원은 3-5시경에 하고
이틀날은 조직검사하며, 초음파로 확인 후에 퇴원하기 때문에 2박 3일 입원한다고 한다.
입원실은 당일에 정해지고 일반병동인지 간호간병병동인지 당일에 정해진다.
(보호자가 오기 힘들어서, 간호간병병동을 더 입원하고 싶다고 했으며, 입원비는 10만원정도가 더 비쌈..........)
교수님께서 임신 여부를 물어보셨으며, 없다고 해서 진행하기로 함.
3. 다음 검사
- 신장 조직검사 (입원)
4. 복용한 약
- 오전 10시 30분 : 프로그랍 1.5mg + 셀셉트 1정 + 메치론 3mg
- 오후 22시 30분: 프로그랍 1.5mg + 셀셉트 1정
- 약 7주에 1번 아침 식후 : 디3베이스 경구솔루션 25000IU_비타민D (2주만의 외래여서 처방없음)
5. 다음 외래 일정
- 2023년 5월 31일 수요일
'신장 이식 후 건강과 일상 > 이식후 외래_신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이식 후 D+1987_거부반응 치료중_2023.05.22 (0) | 2023.05.25 |
---|---|
신장이식 후 D+1980_조직검사 결과&거부반응 경계_2023.05.15 (0) | 2023.05.21 |
신장이식 후 D+1954, Cr 상승+단백뇨 없음_2023.04.19 (0) | 2023.04.24 |
신장이식 후 D+1910, 단백뇨 검출_2023.03.06 (0) | 2023.03.09 |
신장이식 후 D+1871_올해 첫 외래_20230126 (0) | 2023.01.28 |